서울남부보훈지청 정관회 지청장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도발로 시작된 6·25전쟁은 3년간이나 지속되며 100만 명이 넘는 목숨을 앗아갔고, 80%에 달하는 국내 산업시설과 공공시설 등을 집어 삼키며 대한민국을 폐허로 만들어 놓았다.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에 의해 전쟁은 중단됐고 아직도 마침표를 찍지 못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60년이라는 시간동안 경제·문화적 발전을 이끌며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통한 평화 통일을 이루려는 무수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 불구하고 북한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독재 정권의 3대 세습을 이어가며 독재적 권력 유지와 군사력 강화를 통한 무력 통일 정책만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다. 그리고 돌아온 북한의 답변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이었다.
연평도 포격 도발은 2010년 11월 23일 6․25전쟁 후 최초로 북한이 민간인이 거주하는 우리 영토에 무차별 포격을 감행한 만행으로, 천안함 폭침이 일어난 지 채 8개월도 되지 않아 북한은 다시 한 번 우리 국민의 가슴에 깊은 상처를 남긴 사건이다.
3대 세습 정권의 강화를 위해 언제든 전쟁을 불사할 수 있다는 북한의 태도를 보며 평화의 정착이 얼마나 절실한가와 북한을 이웃으로 둔 대한민국에서 얼마나 요원한 일인가 새삼 깨닫게 된다. 또 확고한 호국안보의식만이 곧 대한민국이 누리는 자유와 평화의 토대임을 확실히 인식하게 된다. 포탄이 빗발치는 상황에서도 목숨을 바쳐 조국을 지킨 전사자들과 억울하게 희생되신 분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어떠한 위기에서도 대한민국을 지켜내야 할 책임이 있을 것이다.
연평도 포격 4주기를 맞아 왜 6·25전쟁이 야기됐는지, 왜 60년이 지나도록 정전 협정이 종결되지 못하는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을 면밀히 돌아보는 기회가 마련돼야 하며, 이를 계기로 국민적 공감대를 갖춘 새로운 대북 정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북한의 평화와 개방을 향한 움직임에는 한 민족의 손길로 도와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지만 무력 도발과 핵실험 등 한반도의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는 뿌리 뽑을 수 있도록 강력한 제재를 가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영토와 국민들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당연한 방안일 것이다.
아울러, 대한민국의 영토를 지키기 위해 쓰러져 간 모든 참전용사들의 희생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야 하며 아직도 마침표를 찍지 못한 6·25전쟁을 떠올리며 자유와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안보의 중요성을 다시금 국민 모두가 되새겨보길 바란다.

저작권자 © 동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